API란 무엇일까

2021. 9. 9. 00:02프로그래밍 정보

API?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인터페이스라는 것은 기계간의 장치끼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을 의미하는데, 스마트폰을 예를 든다면 홈버튼이나 전원 버튼을 일명 UI(User Interface)라고 하는데, 여기서 홈 버튼의 기능은 스마트폰을 바탕화면으로 나갈 수 있게 기기에게 전달해주는 버튼이다. 즉 스마트폰과 사용자를 이어주는 매개체인 것이다.

 

출처 : http://blog.wishket.com/api%EB%9E%80-%EC%89%BD%EA%B2%8C-%EC%84%A4%EB%AA%85-%EA%B7%B8%EB%A6%B0%ED%81%B4%EB%9D%BC%EC%9D%B4%EC%96%B8%ED%8A%B8/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 그럼 API로 예를 든다면 손님(내가 만드는 프로그램)이 자리에 앉아 웨이터(API)에게 주문을 한다. 그럼 웨이터는 이 주문 내역을 주방(만들어진 프로그램)에 전달한다. 즉 API는 프로그램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도와주는 매개체로 볼 수 있다. API의 특징 중 하나는 가져다 쓰려는 API의 기능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몰라도 되고 난 그저 API가 갖다주는 걸 사용만 하면 된다는 것이다.

 

API유형

  • private API
    • 내부 API로 회사 개발자가 자체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발행된다. 그래서 제 3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 public API
    • 개방형 API로, 모두에게 공개된다. 누구나 제한 없이 API를 사용할 수 있는게 특징이다.
  • partner API
    • 기업이 데이터 공유에 동의하는 특정인들만 사용이 가능하다. 비즈니스 관계에서 사용되는 편이며, 종종 파트너 회사 간에 소프트웨어를 통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API의 사용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제공할 때 API를 많이 사용한다. 프로그램이나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요청을 하면 보안이 좋지 않기 때문에, 중간에 API를 통해 호출하게 만들고, API는 여기서 사용자 확인이나 권한등을 확인한 후 호출자에게 전달한다.

기기장치(하드웨어)를 사용할 때 많이 사용한다. 하드웨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의 도움을 받아 사용하는데, 운영체제는 API를 제공해서 특정 명령어를 이용해 기기장치등을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API는 표준화를 제공한다. API가 있다면 사용하는 방식을 정해서 모두가 표준화된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음료수를 뽑고 싶다면, 자판기의 설명대로 해야하는 것처럼 말이다.  

 

'프로그래밍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택과 힙  (0) 2024.11.10
저급 언어와 고급언어  (0) 2021.08.24
초기 컴퓨터의 역사  (0) 2021.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