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행자
밀리의 서재를 하면서 역행자라는 책이 자주 눈에 띄었는데 그러다 이번에 읽게 되었다. 책을 펴고 처음 나를 맞이하는 말이 있다.
95퍼센트의 인간은 타고난 운명 그대로 평범하게 살아간다. 이들을 순리자라 하자.
5퍼센트의 인간은 정해진 운명을 거스르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이 능력으로 인생의 자유를 얻고 경제적 자유를 누린다.
정해진 운명을 거역하는 자, 나는 이들을 역행자라 부른다.
아마도 저자가 생각하는 역행자에 대한 정의를 알려주는 문단 같다. 사실 내용만 보면 당연한 내용이다. 일반적으로 사회적으로 성공했다는 사람들과 평범한 사람의 비율을 보면 성공한 사람의 비율이 더 적은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여기서 역행자, 순리자 라는 표현을 이용해 독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 머리에 더 깊이 박히는 느낌이라 좋았다.
이 책에서는 바로 이 역행자가 되기 위한 내용을 서술해준다. 서술 하기 전에는 저자가 어떠한 삶을 살아왔고, 어떻게 성공하였는지에 대해 먼저 풀어준다. 역행자가 되기 전까지의 그의 삶을 보면 아주 평범한 사람이었다. 그랬던 그가 아무일도 하지 않아도 많은 돈을 벌 수 있었던 내용들을 보면, 나도 저렇게 바뀔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갖게 된다.
역행자가 되기 위해서는 총 7단계를 거쳐야 비로소 역행자가 될 수 있다고 한다. 모든 단계를 다 설명하기 보다는 가장 첫단계만 이야기 해보겠다. 바로 "자의식 해체"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전자와 본성의 명령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평범함을 벗어날 수 없다고 한다. 정작 자신은 "나는 다르다"라고 생각하는 자의식에 사로잡혀서 무한 합리화에 빠지게 된다.
그래서 자의식에 문제점을 깨달은 사람들은 인생의 방향을 크게 틀 수 있다고 한다. 본능이 시키는대로 살지 않지 않게 된다는 말이다.
지금 생각해보면 나고 그랬다. 누군가 나에게 조언을 해준다면 나는 일단 거부반응 부터 일어나기 시작한다. 대단하지도 않은 사람이 나한테 훈수를 두는 구나 생각을 하기도 하고, 난 그렇게 생각 안하는데? 라며 반박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이게 다 내 자의식에서 바뀌고 싶지 않는 인간의 본성이 만들어 낸거라고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또 기억에 남는 부분이라고 하면, 바로 저자가 평범했던 자신이 바뀔 수 있었던 이유가 있다. 바로 책을 읽는 것이다.
물론 책만 읽으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더 중요한 것은 바로 실행이다. 책에 있는 대로 해보았더니 정말로 잘 되는 경험을 한 그는 그때부터 글쓰기와 독서를 하루에 2시간을 했다고한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니 왜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나도 이 책을 읽으면서 배울 수 있는 부분을 따로 정리해 두고 실천해보기로 했다.
하루 2시간 독서와 글쓰기를 하기
자의식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인지하며 살아가기